안녕하세요 데브구일입니다 :D
아래 포스팅은 저번에 알아본 Arduino Maker workshop입니다
비슷한 플러그인이니 마음에 드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Arduino Maker Workshop] VS Code에서 아두이노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데브구일입니다 :D 아두이노 사용할 일이 거의 없어서 몰랐는데,기존 Arduino IDE가 지원이 종료될 예정이라는 걸 최근에 알았어요 ㅎㅎ.. 기존 IDE를 대체하는 프로그램은 VS Code에 확장
dev91.tistory.com
오늘은 Arduino Community Edition에 대해 간단한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VS Code에서 Arduino Community edition을 검색해서 설치해줍니다!
설치를 하시면, 아래와 같이 3가지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저번 포스팅에 나왔던 플러그인과 동일하죠?
설치를 완료하시게 되면 보통은 좌측 엑티비티바에 아이콘이 생기는데,
Arduino Community Edition은 아이콘이 별도로 생기지 않습니다!
먼저 세팅을 해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번들 cli로 세팅해보니 보드 매니저가 동작안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arduino cli를 별도로 설치해서 세팅했습니다.
이 부분은 저의 세팅문제 일 수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먼저 Arduino CLI를 설치해줍니다.
CLI는 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CLI를 설치해줍니다!
Releases · arduino/arduino-cli
Arduino command line tool. Contribute to arduino/arduino-cl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설치가 되었다면 플러그인의 Setting으로 들어가서
Arduino: Path를 지정해줍니다.
Path는 설치한 cli 경로로 지정해줍니다!
각자 환경에 따라 설치한 경로가 다르니 확인하시고 지정해주세요!
경로를 지정하고 Arduino: Use Arduino Cli 설정을 체크해줍니다
이 과정은 cli를 활성화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세팅이 적용되도록 체크하신 뒤에 꼭 VS Code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켜주세요!
이 부분은 번들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합니다!
다음은 프로젝트 폴더를 하나 지정해주셔야합니다.
workspace 폴더가 아닌 프로젝트 폴더이며,
프로젝트 폴더와 스케치 파일명은 같아야합니다! <- 주의!
아두이노에서 프로젝트 생성하면 똑같은 이름의 폴더 안에 스케치 파일이 생기는 것과 같습니다!!
여기서는 폴더는 따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생성해서 그 폴더를 열어주셔야 합니다.
저는 blink 스케치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blink 폴더를 만들어서 열어주겠습니다.
프로젝트 폴더가 열렸다면,
파레트를 열고 init을 검색해서, Arduino: Initialize를 실행해줍니다!
실행하시면 바로 sketch 파일명을 입력하는게 나오는데요!
파일명은 프로젝트 폴더와 동일하게 지정해줍니다!
파레트는 단축키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세요!
Window : Ctrl + Shift + P
Mac : Cmd + Shift + P
스케치 파일명을 지정하시면,
기본 blink.ino 파일이 생성되면서, setup()과 loop()가 보이게되고,
하단에 이런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건 지금 보드에 정보가 없어서 나오는 건데요.
이제 보드 매니저에서 보드 데이터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보드 매니저를 먼저 실행하면 되지 않냐는 질문을 하실 수도 있는데요
처음부터 보드 매니저를 실행하려고 하면 오류 메시지가 나오면서
실행이 안되는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제 파레트를 열고 Board Manager를 검색하고 실행해줍니다.
실행하게되면 새로운 창이 하나 뜨면서 우측에 Arudino Board Manager가 실행됩니다
보드 매니저는 기존 IDE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ESP32를 사용할 예정이니 ESP32를 검색하고
Espressif에서 제공하는 esp32 보드 데이터를 설치하겠습니다!
혹시나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오시는 분들은 번들로 제공되는 cli가 아닌
별도로 cli를 설치하신 뒤에 설치한 cli의 경로를 지정하시면 해결되십니다!!
설치가 잘 되셨다면 이제 보드를 변경해보겠습니다
파레트에서 Arduino: Change Board Type를 실행해주세요!
그리고 변경할 보드를 검색해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LOLIN D32보드로 세팅하겠습니다!
이제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하고,
업로드를 해보겠습니다.
업로드 전에 먼저 포트를 잡아줍니다.
포트는 파레트에서 Arduino: Select serial port를 선택하시고,
보드의 포트를 잡아주시면 됩니다!
저는 보드의 포트가 /dev/tty.wchusbserial10 에 연결되있네요!
이제 업로드 할 차례입니다!
파레트에서 upload를 검색해보시면
Arduino: Upload와 Arduino CLI: Upload가 있는데요!
우선은 Arduino: Upload를 실행하여 보드에 업로드를 하시면 됩니다!
이 둘의 차이는 둘 다 업로드 하는 기능은 맞습니다만,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Arduino: Upload의 경우 Verify 후 Upload가 진행이되지만,
Arduino CLI: Upload는 바로 Upload가 실행이 됩니다.
이 말은 코드를 빌드하고 업로드하는 것과, 빌드를 하지 않고 업로드 하는 차이로 보시면됩니다!
굳이 빌드하지 않고 여러 보드에 같은 코드를 업로드 한다면
Arduino CLI: Upload 사용하시면 빠르게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맞는 기능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업로드를 하면 자동으로 serial monitor가 열리지 않습니다.
수동으로 열어줘야합니다!
파레트에서 Arduino: Open serial monitor를 선택하고,
Baud rate를 선택해줍니다!
저는 시리얼을 115200으로 세팅했으니, 115200으로 세팅해주겠습니다!
이제 업로드가 완료 되었고, 시리얼 포트를 열었습니다!
잘 동작하는 군요!
이렇게 알아보긴 했습니다만,
제가 포스팅하면서 느낀점은
뭔가 불편한 구석이 많았습니다.
아마 처음 사용하시면 처음에 다들 헷갈리실 것 같습니다.
지금은 버그도 있는거같고, 사용성이 많이 떨어지는데 불구하고,
업데이트가 굉장히 느린 걸로 봐서는 크게 기대가 되지는 않습니다.
저는 저번에 포스팅했던 Arudino Maker Workshop이 더 마음에 들었습니다!
딱히 버그도 없었고, 최근까지도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어떤게 더 좋을지는 직접 여러분들이 사용해보시고!
판단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봐요~
'개발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 Maker Workshop] VS Code에서 아두이노 사용하기 1 (0) | 2025.05.05 |
---|---|
[Driver] WCH CH34XSER Driver 설치 (Mac OSX) (0) | 2023.02.05 |
[Driver] Silicon Labs VCP Driver 설치 (0) | 2023.02.05 |
시리얼 프로그램 Coolterm (0) | 2022.04.19 |
[VS Code] PlatformIO IDE 설치 (0) | 2022.04.10 |